반응형

리룩스 하드웨어 시간 동기화

0. chronyc sources -v 명령으로 정상 연결여부 확인

1. timedatectl 명령으로 현재 동기화 상태 확인

    RTC time : hw 시간

    # timedatectl status

2.  Local Time UST(Univeral time) 시간, RTC(Real Time Clock, 하드웨어 시간) 이 일치 하는지 확인

3. OS 시간을 하드웨어 시간과 동기화 하기 위해서는 아래 명령어 사용

     # hwclock --hctosys

4. 동기화 되었는지 다시 확인

     # timedatectl status

5. 하드웨어 시간을 OS시간과 동기화 하기 위해서는 아래 명령어 사용

     # hwclock --systohc

6. 동기화 되었는지 다시 확인

     # timedatectl status

주의사항

   - NTP 설정이 되어 있으면 하드웨어 시간을 OS 시간과 동기화 하는 것이 맞다.

관련 URL

https://schoolofweb.net/blog/posts/%EB%A6%AC%EB%88%85%EC%8A%A4-%ED%95%98%EB%93%9C%EC%9B%A8%EC%96%B4-%EC%8B%9C%EA%B0%84-%EB%8F%99%EA%B8%B0%ED%99%94/

 

반응형
반응형

리눅스에서 백업 스크립트를 작성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. 이 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'tar'와 'cron'을 이용하는 것입니다.

  1. 'tar' 명령어를 이용한 백업 스크립트 작성
  • tar는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묶어서 압축하는 유틸리티입니다.
  • 아래와 같은 스크립트를 작성하면 /home/user 디렉토리를 백업할 수 있습니다.
bashCopy code
#!/bin/sh # backup.sh TAR=/bin/tar BACKUP_DIR=/backup SRC_DIR=/home/user FILENAME=user_`date +%Y%m%d`.tar.gz cd $BACKUP_DIR $TAR -cvzf $FILENAME $SRC_DIR
  • 위 스크립트를 실행하면 /backup 디렉토리에 user_YYYYMMDD.tar.gz 파일이 생성됩니다.
  1. 'cron'을 이용한 자동 실행 설정
  • 위 스크립트는 수동으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. 그러나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.
  • cron은 리눅스에서 스케줄러로 사용되는 프로그램입니다. 정해진 시간에 스크립트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.
  •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하면 cron 설정이 가능합니다.
rubyCopy code
$ crontab -e
  • 에디터가 열리면 아래와 같이 스크립트를 추가합니다. 스크립트는 매일 1시에 실행됩니다.
javascriptCopy code
0 1 * * * /bin/sh /backup/backup.sh
  • cron은 스크립트 실행 결과를 로그 파일에 저장합니다. 로그 파일은 /var/log/cron에 저장됩니다.
반응형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