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스토리지 시스템(Storage System)의 개요
가. 스토리지 시스템의 정의
- 단일 디스크로 처리할 수 없는 용량을 저장하기 위해 디스크를 묶어서 논리적으로 사용하는 기술
나. 스토리지 시스템의 필요성
- 데이터의 양적 팽창이 급증함에 따른 데이터의 효율적인 저장 및 관리 필요
- 기업의 정보(Information)자원를 이용한 새로운 비지니스의 창출
- ERP, DW, Data Mining등의 Application 등장
다.스토리지 시스템의 요구조건
- 통합관리를 통한 대용량, 고속 데이터 처리
- 효율적인 데이터 공유 (공유, 분배, 보안강화)
- 확장성,유연성, 서버 접속의 용이성
2. 스토리지 시스템의 유형별 특징
- 전통적인 Storage 접속방법 : DAS(Direct Attached Stroage)
- 네트워크 Storage 접속방법 : SAN(Storage Area Network),NAS(Network Attached Storage)
가. SAN(Storage Area Network)
- SAN Switch인 광채널 스위치(Fiber Channel Switch) 이용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
- 광 채널을 사용하여 높은 처리 속도를 나타냄
- SCSI 방식으로 최대 10Km까지 확장가능하며 네트워크를 통한 백업을 하지 않음
- 현재 SAN을 통해 파일 공유는 어려움
- 저장장치 및 기타 백업장비 등을 중앙 집중적으로 관리하여 효율성이 높음
나. NAS(Network Attached Storage)
- LAN 또는 WAN과 같은 Ethernet Interface를 통해 연결된 Storage Solution
- LAN의 속도에 영향을 받게 되며, 최대 지원거리는 25m임
- 전용파일 서버를 경유하여 파일에 접근하므로 접속단계가 복잡
- DAS의 Port수를 극복한 솔루션이나 장애시 SAN보다 복구능력이 떨어짐
- 대용량 트랜잭션 처리를 필요로 하는 DB업무에는 부적합
다. DAS(Direct Attached Storage)
- 서버가 채널(SCSI 또는 Fiber Channel)을 통해 대용량 저장장치에 직접 연결하는 방식
- 다른 서버에 할당된 저장 장치영역에는 접근이 금지되어 파일 공유 불가
- 통합 저장 장치에 연결되는 서버의 수 한계,Storage에 따라 접속방식, 포트 수,지원서버 상이
- 적은 용량, 데이터 공유가 필요가 없는 경우 사용가능한 저렴한 솔루션
3. SAN, NAS, DAS의 비교
구분 | SAN | NAS | DAS |
구성요소 | 애플리케이션 서버 스토리지,SAN Switch |
애플리케이션 서버 파일 서버,스토리지 |
애플리케이션 서버 스토리지 |
파일시스템 공유 | 미공유 | 공유 | 미공유 |
표준화 | SNIA 주도 | 불필요 | 벤더별 추진 |
속도결정요인 | 채널속도 | LAN, 채널속도 | 채널속도 |
특성 | -무정지 확장성 -고서능, 고비용 -호환성 체계 미흡 -대역폭 보장 |
-이기종간 파일 공유 -설치 및 관리 용이 -LAN 대역폭 잠식 -OLTP성능저하 |
-설치용이 -저렴한 TCO -제한된 확장성 -통합관리의 어려움 |
활용분야 | DB 시스템,DW Multimedia |
ISP, ASP,e-Mail 서버 EDMS |
소규모 독립 시스템 |
4. 저장장치 기술의 발전동향
- IP SAN : 서버와 스토리지간을 IP 네트워크로 접속, iSCSI, FCIP, iFCP 프로토콜 사용
- Stroage Virtualization : 여러 스토리지를 하나의 Pool로 구성,GRID 인프라의 하부 구조를 형성
- 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: 광 케이블을 이용 고속전송이 가능한 SAN 구축
- HSM, ILM : 물리적 스토리지를 정보 가치 및 라이프 사이클 기준으로 관리
* 참조
1. NAS와 SAN비교
NAS | SAN | |
구성요소 | 어플리케이션 서버, 전용 파일 서버, 스토리지 | 어플리케이션 서버, 스토리지 |
접속장치 | LAN 스위치 | Fibre Channel 스위치 |
스토리지 공유 | 가능 | 가능 |
파일시스템 공유 | 가능 | 불가능 |
파일시스템 관리 | 파일서버 | 어플리케이션 서버 |
접속 속도 결정 요인 | LAN과 채널 속도에 좌우됨 | 채널 속도에 좌우됨 |
비고 | 파일공유를 위한 전통적 솔루션 | 유연성, 확장성, 편의성이 가장 뛰어난 구성 |
2. NAS와 File Server 비교
NAS | File Server | |
관점 | 스토리지 | 서버 |
역할 | 파일서버, 스토리지로서의 역할 | 파일서버 역할 |
저장장치형태 | 전용 OS | 범용 OS |
가용성 | 저장된 정보의 무중단 활용 측면에서의 가용성을 중시 | 정보 보호 보다는 파일서비스와 파일공유 기능에 중점 |
파일서버 성능 | 큼 | 보통 |
데이터 용량 | 500GB 이상 | 200GB이하 |
파일 서비스를 위한 프로토콜 | NFS, CIFS 동시 지원 | 사용 OS에 따라 NFS, CIFS 지원 |
'스토리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시놀로지 NAS CPU 버그 수리 하기 (0) | 2023.02.06 |
---|---|
SAN 스위치의 포트 조닝(zoning) 설정(Brocade 제품) (0) | 2021.12.06 |
IBM DS5020 storage controller default IP address (0) | 2019.07.09 |